Optimizely vs Hackle

목적

이 문서는 Hackle A/B 테스트와 Optimizely의 주요 차이점을 기술적인 관점에서 비교하고, Hackle이 제공하는 추가적인 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핵클은 Optimizely 대비하여 합리적인 가격으로 빠르게 지표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요약

구분핵클 (Hackle)Optimizely
지표 설정사용자 정의 지표(분모/분자) 설정, 세그먼트 필터링, AOV/ARPU 등 고급 지표 지원사전 정의된 지표 위주로 설정
분석 기능세그먼트 기반 심층 분석, 실시간 퍼널 분석 기능 통합 제공기본적인 A/B 테스트 결과 분석 기능 제공
가격 정책무료 플랜 및 사용량 기반 과금(MAU), 월 단위 계약 지원고정된 MAU 기반의 연 단위 계약
기술 지원국내 기술 지원팀의 한국어 지원 (실시간 소통 가능)해외 오피스를 통한 지원 (시차 및 언어 장벽 존재)
테스트 안정성MAU 할당량 초과 시에도 진행 중인 실험 유지MAU 할당량 초과 시 모든 실험 자동 중단
결과 업데이트데이터 볼륨과 무관하게 시간 단위로 결과 업데이트데이터 볼륨 증가 시 결과 업데이트 지연 가능

상세 설명

1. 유연한 지표 설정

Hackle은 지표의 분모와 분자를 원하는 이벤트로 커스텀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사용자 세그먼트를 기준으로 지표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본 전환율 외에도 AOV(평균 주문 금액), ARPU(사용자당 평균 수익) 등 비즈니스에 핵심적인 지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2. 세그먼트 기반 심층 분석

플랫폼(iOS, Android, Web), 앱 버전 및 사용자 속성(예: 멤버십 등급, 첫 구매 여부) 등 다양한 기준으로 지표를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SDK를 통해 전달된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별도 설정 없이 특정 세그먼트가 실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통합 데이터 분석 기능

A/B 테스트 기능 외에도 데이터 인사이트, 사용자 퍼널 분석 등 고도화된 데이터 분석 기능을 함께 제공합니다.
이를 활용하여 가설 수립 단계부터 결과 해석에 이르기까지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4. 합리적인 가격 정책

Hackle은 사용량 기반의 유연한 과금 정책과 월 단위 계약 옵션을 제공하여 도입 장벽을 낮추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Optimizely는 일반적으로 연간 계약 기반의 높은 고정 비용 정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5. 신속한 기술 지원

Hackle은 국내에 상주하는 기술 지원팀이 한국어로 신속하게 이슈를 해결하여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보장합니다.
Optimizely는 해외 오피스를 통해 기술 지원을 제공하므로 시차 및 언어 장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중단 없는 테스트 환경

Hackle은 할당량을 초과하더라도 진행 중인 실험을 중단시키지 않아 데이터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테스트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Optimizely는 플랜에 따라 설정된 월간 활성 사용자(MAU) 할당량을 초과하면 진행 중인 모든 A/B 테스트가 중단됩니다.

7. 빠른 결과 업데이트 주기

Hackle은 데이터 볼륨과 관계없이 일관된 시간 단위로 A/B 테스트 결과를 빠르게 업데이트합니다. 이를 통해 신속한 결과 확인과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Optimizely는 누적 데이터 양이 증가함에 따라 결과 업데이트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